-
[스크랩] 인라인 스케이팅의 기초 및 응용 기술인라인 2008. 3. 22. 16:31
(1) 기초기술
걷기
걷기는 첫째 양발을 V자 모양으로 하고 발목과 무릎, 엉덩이를 굽힌 상태에서 상체는 세우고 시선은 전방을 향한다. 둘째 지지하는 발로 균형을 유지하고 반대쪽 발을 들어 앞으로 내딛는다. 이 때 내딛는 발의 간격은 20-30cm가 적당하다. 셋째 동일한 방법으로 반대쪽 발을 내딛는다. 앞으로 내딛는 발에 중심을 이동시키고 뒤쪽 발을 들어 앞으로 이동시킨다(그림 Ⅲ-19).
[그림 Ⅲ-19] 걷기
밀어 붙이기
밀어붙이기는 첫째 V자 자세를 취한 후 둘째 뒷발로 밀어내고 무게중심을 앞발에 두고 전진한다. 셋째 앞발로 균형을 유지하면서 뒷발을 붙여 V자자세를 취한다. 넷째 반대발로 다시 밀어준다(그림 Ⅲ-20).
[그림 Ⅲ-20] 밀어 붙이기
멈추기(Heel Brake)
몀추기는 첫째 양발을 앞뒤로 벌린 후 가위자세를 취한다. 이때 왼발에 체중을 두고 오른발을 앞으로 내민다. 둘째 오른발 앞꿈치를 들어 브레이크패드가 지면에 닿도록 한다. 이때 균형을 잃지 않도록 스케이트 간격을 적당히 유지한다. 셋째 자세를 좀더 낮추고 체중을 앞발로 옮겨 패드에 힘을 가한다. 이때 허리를 굽히지 않고 수직으로 자세를 낮춘다(그림 Ⅲ-21).
[그림 Ⅲ-21] 멈추기
A자 돌기
A자 돌기는 첫째 양발을 어깨보다 넓게 A자 자세를 취한다. 둘째 원하는 방향의 반대쪽 스케이트에 힘을 주며 안쪽으로 기울인다. 셋째 발가락에 힘을 주어 발바닥의 압력을 증가시키고 방향을 전환시킨다(그림 Ⅲ-22).
[그림 Ⅲ-22] A자 돌기
가기 1
가기 1은 첫째 양발을 V자자세로 발뒤꿈치는 붙이지 않고 어깨 너비 정도 벌려 편안한 자세를 취한다. 둘째 시선은 앞으로 향하고 한쪽 발을 옆으로 밀어낸다. 이때 무게중심은 앞발 무릎 위에 둔다. 셋째 앞발로 균형을 유지하고 반대쪽 발을 들어 당긴다(그림 Ⅲ-23).
[그림 Ⅲ-23] 가기 1
가기 2
가기 2는 첫째 V자 자세에서 가기 1의 방법보다 자세를 낮춘다. 둘째 스케이트를 보다 멀리 밀어낸다. 밀어내는 힘이 커짐으로 속도가 빨라지고 글라이딩 시간도 길어진다. 셋째 균형을 유지하며 밀어낸 다리를 붙이고 넷째 반대동작을 계속한다(그림 Ⅲ-24).
[그림 Ⅲ-24] 가기 2
가기 3
가기3은 첫째 자세를 더욱 낮추고 스케이트는 평행한 상태에서 시선은 전방을 향한다. 둘째 스케이트를 옆으로 강하게 밀어 추진력을 얻고, 이때 진행방향의 수직으로 밀어내다는 것에 주의한다. 셋째 뒤꿈치를 당기는 듯한 기분으로 옆으로 밀어내 다리를 반대쪽 다리 방향으로 가져온다. 넷째 지지하는 발 뒤쪽에 당긴 발을 위치시킨다. 다섯째 반대쪽 스케이트를 옆으로 강하게 밀어내고 웅크린 자세를 취하여 밀어내는 발을 최대한 길게 하여 공기 저항을 줄인다(그림 Ⅲ-25).
[그림 Ⅲ-25] 가기3
팔 흔들기
팔 흔들기는 첫째 팔을 좌우로 힘차게 흔들어 가속도를 증가시킨다. 이 때 밀어내는 다리쪽의 팔은 팔꿈치를 굽혀 진행방향으로 향하도록 하고, 반대쪽 팔은 펴서 손바닥이 뒤쪽 하늘을 향하게 한다. 둘째 이와 반대로 한다. 셋째 무릎과 엉덩이를 최대한 낮추고 한발을 옆으로 밀어내고 다른 발로 균형을 유지한다. 넷째 밀어낸 발은 D자 모양을 그리며 제자리에 위치시킨다. 다섯째 지지하는 발에 있던 체중을 발의 무릎을 따라 천천히 이동시키고 반대쪽 발을 옆으로 밀어낸다(그림 Ⅲ-26).
[그림 Ⅲ-26] 가기 3(팔 흔들기)
모래시계
모래시계는 첫째 V자 자세에서 무릎을 약간 굽힌 상태로 양 스케이트의 바깥쪽으로 힘을 주면서 앞으로 나아간다. 둘째 앞으로 진행 중 스케이트를 A자 자세로 만들며 이때 지나치게 다리를 벌리지 않도록 주의한다. 셋째 스케이트 앞꿈치를 안으로 향하게 하여 다리 간격을 좁힌다. 넷째 준비자세로 되돌아 온 다음 같은 동작을 되풀이하여 앞으로 나아간다(그림 Ⅲ-27).
[그림 Ⅲ-27] 모래시계
평행돌기
평행돌기는 첫째 가기자세에서 한 쪽 발을 앞으로 내밀어 가위자세를 취한다. 둘째 가위자세에서 상체와 시선을 회전방향으로 돌린다. 셋째 회전하는 중 몸을 기울여 양 스케이트를 회전방향으로 동시에 경사지게 한다. 넷째 돌기가 시작되면 앞발에 좀더 힘을 부가한다. 다섯째 균형을 유지하고 계속 진행한다(그림 Ⅲ-28).
[그림 Ⅲ-28] 평행돌기
방향전환
방향전환은 첫째 팔을 앞뒤로 벌려 균형을 유지하고 방향을 전환하는 쪽 스케이트를 내밀어 가위자세를 취한다. 둘째 뒤꿈치를 들어 180도 틀어서 방향을 전환시킨다. 셋째 방향 전환 후 뒤로 가기를 한다. 넷째 앞꿈치를 들어 180도 방향을 전환시킨다. 다섯째 균형을 유지하고 계속 진행한다(그림 Ⅲ-29).
[그림 Ⅲ-29] 방향전환
스핀스톱
스핀스톱은 앞꿈치를 축으로 회전하는 피봇이라는 동작과 상체 회전을 이용하여 직선운동을 회전운동으로 전환시키며 멈추는 기술이다. 첫째 회전하는 방향의 발을 내밀어 가위자세를 취한다. 둘째 뒤꿈치를 들어 앞바퀴만 지면에 대고 균형을 유지한다. 셋째 회전하는 방향으로 미리 상체를 돌린다. 넷째 앞에 있는 발을 축으로 반대쪽 발을 회전시키면서 안쪽 에지에 힘을 준다. 다섯째 앞발로 균형을 유지하고 양 스케이트를 모아 완전히 멈춘다(그림 Ⅲ-30).
[그림 Ⅲ-30] 스핀스톱
크로스 오버
크로스오버는 첫째 바깥쪽 스케이트를 밀면서 상체와 시선을 회전하는 방향으로 향한다. 둘째 안쪽 발로 균형을 유지하고 바깥쪽 스케이트를 든다. 셋째 바깥쪽 발을 안쪽 발 위로 이동시킨다. 이 때 무게중심은 넘어가는 발을 따라간다. 넷째 안쪽으로 넘기는 발의 무릎에 체중을 함께 이동시킨다. 다섯째 스케이트를 제자리로 가져오면서 바깥쪽 스케이트를 밀어낸다(그림 Ⅲ-31).
[그림 Ⅲ-31] 크로스 오버
T자 멈추기
T자 멈추기는 첫째 양 발을 나란히 하여 멈추기 위한 준비자세를 취한다. 둘째 앞쪽 스케이트에 체중을 이동시키고 뒤쪽 스케이트는 수직이 되게 한다. 셋째 뒤쪽 스케이트의 안쪽에지에 무게를 실어 마찰력을 높이면서 앞으로 당겨 안정된 T자 자세를 유지한다(그림 Ⅲ-32).
[그림Ⅲ-32] T자 멈추기
(2) 응용기술
장애물 통과
가위자세는 인라인 응용기술의 기본자세인 동시에 장애물 통과 등에 매우 유용한 기술이다. 양 스케이트를 11자로 나란히 한 상태에서 뒤쪽 스케이트에 체중을 싣고 한쪽 다리를 앞으로 내밀어 균형을 유지한다. 단지 이 자세만으로 장애물(맨홀, 배수구, 노면이 거친 바닥)을 안전하게 통과할 수 있다.
속도 방지턱은 내려갈 때 보다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올라갈 때는 무게중심이 약간 뒤에 있는데 속도 방지턱을 내려갈 때 이 자세를 유지하면 스케이트는 앞으로 나가는 반면 몸의 중심은 뒤에 남아 뒤로 넘어질 수 있다.
[그림 Ⅲ-33] 장애물 통과하기
배수구 통과하기
배수구를 통과할 때는 바퀴가 구멍에 걸려 넘어지기 쉽다. 따라서 이런 장애물은 무릎을 굽히고 상체를 앞으로 기울여 가위자세를 취한 후 정강이로 스케이트의 발목 덮개 부분을 누르고 무게중심이 앞에 오도록 한 다음 대각선 방향으로 통과한다(그림 Ⅲ-33).
[그림 Ⅲ-33] 배수구 통과하기
비탈길 올라가기
비탈길은 상체를 앞으로 숙이고 스케이트를 옆으로 밀면서 올라간다. 올라가는 도중에 휴식을 취할 경우 스케이트 안쪽 에지를 이용하여 바퀴가 아래로 굴러가지 않도록 한다. 스케이트를 비탈길의 수직방향으로 놓은 다음 스케이트 중앙 부위에 다른 쪽 스케이트의 뒤꿈치를 붙여 정지자세를 유지한다(그림 Ⅲ-34).
[그림 Ⅲ-34] 비탈길통과하기
비탈길 내려가기
비탈길은 오르는 것보다 내려오는 것이 어렵고 위험하다. 내리막길을 안전하게 내려오는 일반적인 방법은 가위자세를 취하고 뒤꿈치 브레이크를 자주 걸어준다. 또한 난간을 잡고 경사면을 내려올 수 있으며, 이 때 스케이트를 옆으로 눕혀 바퀴의 마찰력을 높인다. 내리막길에 익숙해지고 도착지점의 안전성이 확보된 경우 스키의 활강처럼 S자를 그리며 내려오거나 평행돌기로 곡선을 그리며 내려올 수 있다(그림 Ⅲ-35).
[그림 Ⅲ-35] 비탈길 내려가기출처 : 국민생활체육협의회
출처 : 인라인4989(인라인국내최저가장터)글쓴이 : Mrinline 원글보기메모 :'인라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인라인 스케이팅의 기본기술 (0) 2008.03.22 [스크랩] 인라인스케이팅의 준비자세 (0) 2008.03.22 [스크랩] 보호대 착용 필요성 및 종류 (0) 2008.03.22 [스크랩] 인라인 스케이트의 운동 효과 (0) 2008.03.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