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사상 차리는법 제수는 곧 제찬(祭饌)이라고도 하는데, 각 가문의 형편에 따라 다르고 각 지방의 관습에 따라 다른 점이 있다. 다만 제수의 많고 적음보다는 그 정성에 치중하여 지내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옛날부터 우리 조상들이 지켜온 제수의 격식이 있으므로 그에 준해야 한다. ※ 제상 진..
경조사 이름과 봉투쓰기 회갑 回甲 : 61세 되는해 (환갑 還甲) 진갑 進甲 : 회갑 다음해 (진갑進甲) 칠순 七旬 : 70세 되는해 (고희古稀) 희수 稀壽 : 77세 되는해 (희수稀壽.喜壽) 팔순 八旬 : 80세 되는해 (산수傘壽) 미수 米壽 : 88세 되는해 (미수연米壽宴) 백수 白壽 : 99세 되는해 (백수白壽) 60세 이후의 생..
명절 차례상차리기 (상차리는 방법 ) 차례상 제대로 차리기 5줄 차례상 견본(지역에 따라 다를 수도 있습니다) ��� 차례상 차리는 방법 진설하는 열은 모두 5열로 위 그림과 방법으로 합니다. 제1열은 술잔과 메(밥), 떡국(설), 송편(추석)을 놓는 줄 앞에서 보아 떡국(송편)은 우측에 술잔은 좌측에 차..
※ 지방 쓰는 법 * 신위는 고인의 사진으로 할 수 있다. 사진이 없을 경우 지방으로 대신한다. * 지방은 깨끗한 백지에 먹으로 쓰며 크기는 22cm*6cm로 한다. * 남자 지방의 경우 중간에 학생(學生)이라고 쓰며, 벼슬이 영의정 이라면 그대로 (정일품 영의정) 이라고 학생 대신에 쓰면된다. 부인의 경우는 보..
"제사" 원리를 알면 덜 지루하다 모든일에 논리나 원리가 있듯이 제사에도 논리나 원리가 있다. 이 원리를 모르면 제사가 한낱 형식에 지나지 않은 지루한 하나의 의식에 불과하지만, 원리를 알게 되면 제사가 더 이상 어렵거나 지루한 의식은 아니다. 여기에서는 제사 지내기와 제사상 차리기에 원리..
상례 절차 및 예절 1. 수시 (收屍) 병자가 죽으면 지체없이 다음과 같이 수시(收屍)한다. * 깨끗한 벽지나 솜으로 귀와 코를 막는다. * 눈을 감기고 입을 다물게 한뒤 머리를 높게 괴고 손발을 바로 놓는다. * 나무관 위에 시체를 눕히고 홑이불로 덮은 뒤에 시상(屍床)으로 옮겨 병풍이나 장막으로 가리고 ..
단자(單子) 쓰는 법 단자(單子)란 경조사(慶弔事) 때 부조(扶助) 물목(物目)을 종이에 적은 것을 말한다. 봉투 속에 단자를 넣는 것이 예의(禮儀))에 맞다. 봉투 겉면에는 경사(慶事)에는 축의금(祝儀金) 또는 축하품(祝賀品), 문상(問喪)에는 부의(賻儀)라고 쓴다. 내지(內紙) 즉 단자(單子)에는 부조하는 ..
경조사에 쓰는 글 경조사에 글 쓸때************ 出産 順産 誕生 誕辰 축 순산 * 祝 順産 축 탄생 * 祝 誕生 축 공주탄생 * 祝 公主誕生 축 왕자탄생 * 祝 王子誕生 축 탄신 * 祝誕辰 *********************************약혼. 혼인기념일 婚姻記念日 축 약혼 * 祝 約婚 축 혼인 * 祝 婚姻 축 화혼 * 祝 華婚 1주년 - 지혼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