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수묵화는 농채화, 수묵담채화는 채색화, 진채화는 후채화라고 하지요. 수묵담채화는 먹색의 농담 효과를 살린 수묵화에 담담하고 엷은 채색의 느낌을 가미한 한국화(동양화)로 채색 보다 수묵 위주로 그려집니다. 진채화는 먹의 사용을 줄이고 채색을 두텁고 진하게 칠하는 그림으로 사실적인 북화풍..
한국화의 채색 그림은 색으로 덮여진 평면이다. 수묵화는 먹의 유희이고 채묵화(彩墨畵)는 먹과 색의 조화이다. 먹도 6색이 있고 색은 색상 ·명도 ·채도의 3속성이 있다. 모든 물체나 자연은 나름의 고유색인 물체색이 있고 느낌을 결정 짓는다. 삼원색은 적, 황, 청인데 섞을수록 흑색에 가까워진다...
사혁의 화6법(畵六法) 어떤 그림이 잘된 그림인가. 그 그림이 다 그 그림 같은데‥‥ 잘된 그림을 고르는 어떤 척도가 없을까. 일찍이 남제(南齊)시대(475~501년)의 사혁은 초상화가이며 당당한 화론가였는데 같은 고민을 했다. 당시 고개지의 화평도 있었으나 사혁은 동양회화론의 시조라 할 수 있다. 사..
작가정신 작가정신은 화가가 갖추어야 할 인품과 소양을 말한다. 즉 화가가 닦고 가야할 길, 화도(畵道)이다. 좋은 인품에서 좋은 작품이 나온다. 따라서 작가정신은 맑고 밝고 바른길을 말한다. 우선 작품 제작에서, 이웃에서, 그리고 역사적 공인으로서 갖추어야 할 도리가 있다. 그것은 한 마디로 '..
출처 : 청경우독(晴耕雨讀)글쓴이 : 경화수월鏡花水月 원글보기메모 :
1. 작품배접방법 작품지는 표장물의 기본적인 얼굴이다. 작품지가 배접의 실수로 먹이나 채색이 번지게 되면 그 작품은 아무리 잘 표장되어도 생명을 잃어버린 작품이다. 그러므로 배접을 하려할 때는 상당히 신중한 자세를 견지하여야 하고, 배접지를 잘 선택하여야 하며, 접착되는 풀 또한 정순한 ..
*동양화(東洋畵) 읽는 법(法)* ◇ 동양화는 단순히 보는 그림이 아니라 읽는 그림입니다. ◇ 동양화는 그 그림을 감상하기에 앞서 그 그림이 나타내는 뜻(意味 의미)을 먼저 알아야 합니다. ◇ 동양화는 반드시 나타내고자하는 뜻이 있으므로 이치에 맞지 않거나 일정한 법칙이나 제한등을 가지고 있..
낙관 인주는 빨강색이다. 빨강색은 피를 상징한다. 피는 생명을 연상케 한다. 세상에서 제일 값진 것은 생명이다. 나를 표현하는 이름은 자기 생명을 대신한다. 그래서 서명이나 낙관은 함부로 하는 것이 아니다. 신중을 기해야 한다. 나의 생명을 함부로 다뤄서는 안 되기 때문이다. 서화(書畵)가 완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