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스크랩] 매화,죽,국,목단,수선화,감,비파,호박,석류,무궁화.소나무.호랑이,사슴.소,다람쥐,토끼,말,공작,학,꿩,독수리 두견새등 화제
    문인화 2014. 8. 12. 16:15

    [화제] 매화,죽,국,목단,수선화,감,비파,호박,석류,무궁화.

     松(송)소나무.호랑이,사슴.소,다람쥐,토끼,말,공작,학,꿩,독수리

     두견새,기타..

     

    [매화] 화제 詩

     

    (1) 一樹寒梅白玉條(일수한매백옥조)

        =한 나무 차가운 매화가 하얀 백옥가지 지녀

     

        廻臨村路傍溪橋(회임촌로방계교)

        =마을길에 임하여 시냇가 다리 곁에 서있다

     

    (2) 春日東風一色香(춘일동풍일색향)

        =봄날 한 빛이 향기롭고

     

        暖日南枝長樂中(난일남지장락중)

        =따뜻한 남쪽가지에 (長樂宮(장락 궁))속에 있다

     

    (3) 玉骨氷心一樹楳(옥골빙심일수매)

        =옥 같은 뼈 어름 같은 마음을 가진 매 화 한 나무

     

        幾生修待現今來(기생수대현금래)

        =몇 생을 修鍊(수련)하여 이렇게 되어지기를 기다렸던가?

     

        艶於歌姬淸於畵(염어가희청어화)

        =노래하는 계집보다 어여쁘고 그림보다 맑은 것이

     

        詩境年年爲一開(시경년년위일개)

        =詩(시)짓는 境地(경지)에 해마다 씩 피어주누나.

     

    (4) 不待艶陽桃季時(부대염양도계시)

        =陽春(양춘)의桃季(도계)철을기 다리지 아니하고

     

        庭前梅蕾獨分披(정전매뢰독분피)

        =뜰 앞에 매화 꽃 봉우리가 혼자서 벙글었다

     

    (5) 紅梅(홍매)

        一花兩花春信回(일화량화춘신회)

        =한 꽃 두 꽃에 봄소식 오고,

     

        南枝北枝風日催(남지북지풍일최)

        =남쪽가지 북쪽가지에 風日(풍일)이 재촉한다.

     

        爛慢却愁零落盡(난만각수령낙진)

        =활짝피면 모조리 떨어질까 걱정되니

     

        丁寧宜莫十分開(정녕의막십분개)

        =십분 피지만 만개를 당부한다.

     

     

    竹(죽)

     

    (6) 墨汁淋漓尙未乾(묵즙임리상미건)

        =먹이 질펀하여 아직도 안말랐다

     

        誰揮醉筆寫琅玕(수휘취필사랑간)

        =누가 취한 붓을 휘들러 대나무를 그렸는 고,

     

        秋風無限江南心(추풍무한강남심)

        =강남에 가을 바람이 한이 없는데

     

        影落瀟湘暮雨寒(영낙소상모우한)

        =그림자가 소상강에 떨어져 저문비만 차갑네

     

     

    菊花(국화)

    (7) 春榮夏茂季秋香(춘영하무계추향)

        =봄에나서 여름에 무성하여 가을 에 향기롭고

     

        晩節還能傲雪霜(만절환능오설상)

        =늦게야 눈서리를 능히 이겨낸다

     

        不見東風桃李面(불견동풍도리면)

        =동풍에 핀 桃李(도리)같은 면은 찾아 볼 수 없는데

     

        幾竿脩竹伴孤芳(기간수죽반고방)

        =몇줄기 긴 대나무만이 외로운 고운자태 짝이 되어 주누나

     

     

    (8) 佳色含霜向日開(가색함상향일개)

        =아름다운 빛이 서리를 머금고 해 를 향해 피었는데

     

        餘香冉冉覆莓苔(여향염염복매태)

        =남은 향기 흘러와서 이끼위에 덮힌다.

     

        獨憐節操非凡種(독련절조비범종)

        =오직 귀여운 건 절개, 지조가 보통의 씨가 아니어서

     

        曾向陶君經裏來(증향도군경리래)

        =일찌기 陶君(도군)[도연명]의 글속에 지나왔어라.

     

     

    (9) 千紫萬紅秋風落(천자만홍추풍락)

         =일천 자주 꽃 일만 붉은 꽃 가을바람에 지고

     

        東籬佳菊傲霜新(동리가국오상신)

         =동쪽울타리에 아름다운 국화만 서리를 무시하고 새롭게

           피었다

     

    (목단)

    (10) 盖世風流王相國(개세풍류왕상국)

          =세상을 덮은 풍류남아 王相國(왕상국)이요

           [相國은 政丞,王戒를 말함]

     

          傾城顔色李夫人(경성안색이부인)

          =城(성)을 뒤엎을 만큼 顔色(안색)이라,

           [漢武帝(한무제)의 後宮(후궁)]

     

    (11) 長安豪貴惜春發(장안호귀석춘발)

          =서울에 호걸 귀객이 봄이 저물어 감을 애석하게 여겨

     

          爭賞先開紫牧丹(쟁상선개자목단)

          =먼저 핀 자 목단을 다투어 구경한다.

     

          別有玉杯承露冷(별유옥배승로냉)

          =따로 옥잔이 있어 차가운 이슬을 받았는데

     

          無人解向月中看(무인해향월중간)

          =달빛 속에 구경할 줄 아는 사람이 없구려

     

    (12) 老來靑帝亦風流(노래청제역풍류)

          =늙은 靑帝(청제)[봄의 화신]도 풍류가 있고

     

          年少花王正黑頭(년소화왕정흑두)

          =나이 젊은 花王(화왕)[목단]은 한참 黑頭(흑두)여라

     

     

    연꽃

    (13) 淤泥不染如來性(어니불염여래성)

          =진흙에 물들지 않아 如來(여래)[석가모니] 성품이요

     

          淨社曾陪多士禪(정사증배다사선)

          =깨끗한 모임에서 일찍이 많은 선비들이 參禪(참선)에

            모셨도다

     

    (14) 避炎會坐芰荷香(피염회좌기하향)

          =더위를 피하여 모여 앉으니 연꽃이 향기롭다.

     

          竹縛湖樓水繞牆(죽박호루수요장)

          =대나무로 얽은 호수누각, 물이 담장을 둘렀구나

     

    (15) 芭蕉(파초)

          一椷書札藏何事(일함서찰장하사)

          =一封(일봉)편지에 무슨 사연 갊았는 고...

     

          會被東風暗圻看(회피동풍암기간)

          =일찌기 동풍에게 슬며시 뜯겨 보였네

     

    (16) 仙仙豪擧碧嵯峨(선선호거벽차아)

          =시원하게 높이 올라 푸르름 높다란데

     

          泛欲光風縮欲波(범욕광풍축욕파)

          =봄바람도 일을 듯 물결도 칠듯.......,

     

    (17) 天桃(천도)복숭아

          天年桃實大於斗(천년도실대어두)

          =천년 복숭아 열매가 말만이나 큰 것을

     

          仙人摘之以釀酒(선인적지이양주)

          =仙人(선인)이 따서 술을 빚는다

     

          食可之得千萬壽(식가지득천만수)

          =한번 먹으면 千萬壽(천만수)를 누리면서

     

          朱顔長如十八九(주안장여십팔구)

          =붉은 얼굴이 十八九歲(십팔구세)같도다

     

     

     

    枇杷(비파)

     

    [18] 樹繁碧玉葉(수번벽옥엽)

           =나무에는 푸른 옥같은 잎이 번성하고

     

           柯疊黃金丸(가첩황금환)

           =가지에는 누런 금같은 열매가 첩첩이 달렸다

     

     

    [19] 花開薝葡五月雪(화개담포오월설)

           =청포 꽃이 피었 다 가 떨 어 지 니 오월의 눈이요

     

           菓熟枇杷萬樹金(과숙비파만수금)

           =비파가익으니온나무가금덩어리로다 

     

     

    [20] 蘆葫(로호)-조롱박

           東圃早春種(동포조춘종)

            =동녘 밭에 일찍 씨를 심으니

     

           走莖實綠黃(주경실녹황)

            =넝쿨은 뻗고 열매는 푸르고 누르도다

     

           家妻隨時摘(가처수시적)

            =아내는 때로 호박을 따서

     

           烹煮上盤床(팽자상반상)

            =삶고 지져서 반상에 올리더라

     

     

    [21]-石榴(석류)

           伴開口裡淸氷齒(반개구리청빙치)

           =입을 반만 열으니 얼음이요

     

           更閉脣時紫錦囊(갱폐순시자금낭)

           =다시 입술을 닫으니 붉은 비단주머니가 되도다.

     

           簫娘初嫁嗜且酸(소낭초가기차산)

           =소낭이 처음 시집을 가서 신 것을 좋아 하여

     

           嚼破水精千萬粒(작파수정천만립)

           =씹어 파하니 수정이 천만 알이나되더라

     

     

    [22]무궁화

          花開槿域三千里(화개근역삼천리)

           =무궁화가 삼천리에 피니

     

          錦繡江山萬世明(금수강산만세명)

           =비단 수 같은 강과 산이 만세에 밝으리라

     

          無窮花發三千里(무궁화발삼천리)

           =무궁화가 삼천리에 피니

     

          太極旗揚萬世連(태극기양만세연)

           =태극기가 만세에 이어 날리리라.

     

     

    2. 松(송)소나무

     

    [23] 소나무

           雙松供壽(쌍송공수)

           =두 소나무가 長壽(장수)를 提供(제공)한다

     

    [24] 소나무

           滿院凉雲掇不開(만원량운철불개)

           =온 정원에 시원한 구름 걷히지 않고

     

           蒼蒼古幹繡莓苔(창창고간수매태)

           =푸르른 묶은 줄기에 이끼가 수놓았다

     

           晩風忽送琴中語(만풍홀송금중어)

           =늦바람이 문득 거문고 소리를 보내서

     

           知有古人策杖來(지유고인책장래)

           =친구가 지팡이 짚고 왔나보다.

     

     

    [25]소나무

           虯枝鐵幹掌靑空(규지철간장청공)

           =규룡같은 가지 쇠같은 줄기가 푸른 하늘으 받쳤고

     

           飛泉絶壁鳴琤琮(비천절벽명쟁종)

           =폭포는 절벽에 쟁쟁이 울린다.

     

     

    [26] 소나무

           高標百尺雪中見(고표백척설중견)

           =높은 모습 百尺(백척)이 雪中(설중)에 보이고

     

           長嘯一聲風裏聞(장소일성풍리문)

           =긴 휘바람 한 소리가 바람 속에 들린다

     

     

    [27] 水仙花(수선화)

           金盤露積珠襦重(금반로적주유중)

           =금반에 이슬이 쌓이니 구슬져 고리가 무겁고

     

           玉佩風生翠帶長(옥패풍생취대장)

           =옥매에 바람이 생기니 푸른 띄가 길도다

     

     

    [28] 수선화

           水仙花笑淸波上(수선화소청파상)

           =수선화는 맑은 물결위에서 웃고 있는데

     

           金鳥何啼古石頭(금조하제고석두)

           =금조는 어찌하여 돌 위에서 울고 있느냐.

     

     

    [29]수선화

           巢父昔年曾洗耳(소부석년증세이)

           =소부가 옛날귀를 씻었다는데

     

           華中亦自有高士(화중역자유고사)

           =꽃 중에도 또한 高士(고사)가 있다

     

           平生煙火氣不霑(평생연화기부점)

           =평생에 煙火의 氣에는 젖지도 않았고

     

           作伴白石山谿水(작반백석산계수)

           =백석산에 山谿水(산계수)만을 짝궁 지었다.

     

     

     

     

     

    추가화제

    호랑이,사슴.소,다람쥐,토끼,말,

    공작,학,꿩,독수리,두견새,기타,

     

    [1]호랑이/崔正秀(최정수)

        猛虎出深林(맹호출심림)=맹호가 깊은 숲에서 나와

        振其雄健心(진기웅건심)=그 웅건한 마음을 떨치는 구나

     

    [2]호랑이/崔正秀(최정수)

        爾本荊山獸(이본형산수)=네가 본래 형산의 짐승인데

        何由到此園(하유도차원)=무슨 이유로 이 동물원에 왔느냐

     

    [3]호랑이/崔正秀(최정수)

        山中王者莫如虎(산중왕자막여호)=산 가운데 왕자는 범과

                                                 같은 것은 없고

        大吼一聲百獸隱(대후일성백수은)=크게 부르짖는 소리에

                                                 산짐승들이 숨는구나

     

    [4]호랑이/金泳聖

        哮咆聲裡山河動(효포성리산하동)=호랑이 우는 소리에

                                                 산과 강이 움직이고

        窮齧磨時百獸驚(궁설마시백수경)=궁해서 이를 가는때는

                                                 짐승들이 놀라는구나

     

    [1]사슴/鹿(녹)/事文類抄(사문유초)-

        瞻彼中林甡甡其鹿(첨피중림신신기록)=저 죽림을 바라보니

                                                 사슴이 우물우물 한다

     

    [2]사슴 鹿(녹)/事文類抄(사문유초)

        千年爲蒼鹿又百(천년위창록우백)=사슴이 천년이 되면

                                                 창록이되고 또 백년

        年化爲白鹿又五(년화위백록우오)=년이 되면 화하여 백록이

                                                 되고 또 오

        百年化爲玄鹿(백년화위현록)=백년이 되면 현록이 된다.

     

     

    [3]사슴,鹿(녹)事文類抄(사문유초)

        文王靈囿再逢難(문왕령유재봉난)=문왕이 영유를 다시

                                                 만나기 어려워서

        自來深山遠害殘(자래심산원해잔)=스스로 깊은 산에 가서

                                                 해를 멀리 한다

     

    [1]토끼/兎(토)-事文類抄(사문유초)

        水晶爲宮玉爲田(수정위궁옥위전)=수정으로 궁을하고

                                                 옥으로 밭을 하여

        嫦娥繑衣洗朱鉛(항아교의세주연)=항아의 선녀의 흰비단

                                  으로 옷을하고 붉은 분으로 씻는다

        宮中老兎非日浴(궁중로토비일욕)=궁중에 늙은 토끼가

                                  날마다 목욕을 하지 않아도

        天使潔白宜嬋娟(천사결백의선연)=천사처럼 결백하고

                                  어여쁘고 곱다

     

    [1]말-馬(마)/事文類抄(사문유초)

        穆王御八龍(목왕어팔룡)=목왕이 팔룡

        之馬行天下(지마행천하)=의 말을 타고 천하를 다닐 적에

        絶地足不踐土(절지족불천토)=절대로 발로 땅의 흙을

                                            밟지 않고

        奔宵夜行萬里(분소야행만리)=밤에 달려도 만리를 가도다.

     

     

    [2]말-馬(마)/金安國(김안국)

        人面南帶楚山月(인면남대초산월)=사람의 얼굴은 초산의

                                            달을 띠었으나

        馬頭北歸鎭川雲(마두북귀진천운)=말머리는 북쪽진천

                                            구름으로 돌아가는 구나

     

    [3]말-馬(마)/金正國(김정국)

        靑山影裡斜陽路(청산영리사양로)=푸른산 그림자 속

                                            석양 길에

        怪哉來人乘去馬(괴재래인승거마)=괴이 하도다 오는 사람

                                            가는 말을 탔구나

        <말을 거꾸로 타고 가는 것을 보고 형제분이 지은 시다>

     

     

    [1] 소,牛(우)/事文類抄(사문유초)

        細草烟深暮(세초연심모)=가는 풀에 연기는 끼고 날은

                                      저물었는데

        雨收牧童歸(우수목동귀)=비는 걷우고 목동이

                                      돌아오는 구나

     

     

    [2] 소,牛 /崔正秀(최정수)

        日暖風和花滿開(일난풍화화만개)=날은 따뜻하고 바람이

                                      온화하여 꽃은 만발하였는데

        牧童弄笛騎牛來(목동농적기우래)=목동은 피리를 희롱하여

                                      소를 타고 오는 구나

     

    [3]소,牛(우)/洪性濤(홍성도)

    鈴目重體兩角高(령목중체량각고)=방울 눈과 무거운 몸에 두 뿔이 높은데

    能耕大野不吟勞(능경대야불음로)=능히 큰들을 갈면서도 말없이 수고를 하는 구나

    身成五彩攻齊跡(신성오채공제적)=몸에는 오색 옷을 두르고 친 공적이 있는데

    今豈三時啖草皐(금기삼시담초고)=지금은 어찌하여 언덕에는 풀만 뜯어 먹는구나

     

    [1] 다람쥐, 鼯(오)/金泳聖(김영성)

    爾性元來栖碧山(이성원래서벽산)=네가 원래 푸른 산에서 사는 것인데

    不知何事落人間(부지하사락인간)=알지 못하겠다 무슨 일로 인간에게 떨어 졌느냐

    誤人籠中蒒曲內(오인롱중사곡내)=그릇 농중 체바퀴 안으로 들어가서

    回回踏還暫無閑(회회답환잠무한)=돌리고 돌리고 밟아 도리어 잠시도 한가로움이 없구나

     

    [1]공작/孔雀(공작)/事文類抄(사문유초)

    羅州山中有孔雀(나주산중유공작)=나주 산 가운데 공작이 있으니

    雌者尾短無金翠(자자미단무금취)=암컷은 꼬리가 짧고 금빛과 푸른빛이 없구나

    雄者生三年有小(웅자생삼년유소)=숫컷은 낳은지 삼년이 되면 작은 꼬리가 있고

    尾五年成大尾(미오년성대미)=오년이 되면 큰 꼬리를 이루 도다

     

    [1]학-鶴(학)/崔正秀(최정수)

    靑田仙鶴夫妻樂(청전선학부처락)=청전에 신선 학의 자웅이 즐거운데

    丹頂玄翔衣皓裙(단정현상의호군)=이마닌 붉고 날개는 검고 흰 치마를 입었 구나

     

    [2]학-鶴(학)/事文類抄(사문유초)

    鶴千歲則變蒼又(학천세칙변창우)=흰 학이 천년이 지나면 푸르게 변하고 또

    千歲黑所謂玄鶴(천세흑소위현학)=천세가 지나면 검으니 으른바 현학 이니라

     

    [3]鶴(학)/작자미상

    丹頂皓衣仙姿(단정호의선자)=이마는 붉고 옷은 희어서 신선의 모양인데

    眞性高標鳳侶(진성고표봉려)=참 성품 높은 목표는 봉환과 짝함이요

    無心對月靜娥(무심대월정아)=마음 없이 달을 대하니 고요한 항아 선녀 같고

    有情臨風一淚(유정임풍일루)=뜻이 있어 바람에 임해서 한번 우는 구나

     

    [1]꿩-雉(치)

    五色羽衣斑尾身(오색우의반미신)=오색옷깃에 꼬리는 아롱진 몸인데

    何由謫下立風塵(하유적하립풍진)=무슨 이유로 풍진 세상에 귀양을 와서 섰느냐

    時來田豆萌拔(시래전묘두맹발)=때로는 밭두둑에 와서 콩싹을 빼다가

    譁逐人聲電匿身(화축인성전닉신)=화하고 쫓는 사람소리에 번개처럼 숨는 구나

     

    [1]독수리,鶚(악)/崔正秀(최정수)

    臨風步步看庭樹(임풍보보간정수)=바람에 임하여 걸어가며 나무를 보니

    鶚出凡禽驚隱林(악출범금경은림)=독수리가 나오고 모든새들은 놀라서 수풀에 숨는 구나

     

    [2]독수리,鶚(악)/崔正秀(최정수)

    赤眸曲嘴兩伸翼(적모곡취양신익)=붉은 눈과 굽은 입부리에 두날 개를 펴고

    得意飛飛過樹林(득의비비과수림)=뜻을 얻어 날아서 나무숲을 지나간다.

     

    [1]제비-燕(연)/崔鳴吉(최명길)

    廉影玲瓏霽景姸(염영영롱제경연)=발그림자는 영롱하고 개인 경치는 어여뿐데

    雄雌相逐畵樑邊(웅자상축화량변)=숫놈암놈이 서로 쫓아 대들보를 날아다니는 구나

    粘巢始 花開後(점소시진화개후)=집을 짓는 것은 꽃이 핀후에 하고

    啄菢終居麥熟前(탁포종거맥숙전)=새끼를 까는 것은 보리가 익기 전에 이로구나.

    黃口未鎖煩乳哺(황구미쇄번유포)=누른 입이 사라지기 전에 번거롭게 젖을 먹고

    黑衣纔長各風烟(흑의재장각풍연)=검은 옷이 겨우 크니 각기 바람에 연기같이 날아간다

    須知喚主丁寧語(수지환주정녕어)=모름지기 주인을 부르는 정녕한 말을 아는가

    政要幽人護視專(정요유인호시전)=정히그윽히 사람을 보호하고 보아 줄것을 온전히 함을 요청함이라

     

    [1]杜鵑(두견)/李南軒(이남헌)

    那須帶血依芳樹(나수대혈의방수)=이찌 모름지기 피를 띠고 방수에 의지하여

    自可夜翻弄雪衣(자가야번롱설의)=스스로 가히 밤에 눈같이 옷을 번득이며 희롱하는 고.

    [2]杜鵑(두견)/李南軒(이남헌)

    聲斷曉岑殘月白(성단효잠잔월백)=소리는 메뿌리에 귾어 지고 새벽달은 희고

    血流春谷落花紅(혈류춘곡낙화홍)=피를 봄 골짜기에 뿌리니 떨어지는 꽃이 붉구나

     

    無名氏(무명씨)

    돈이 있어 몸이 무겁다

    벼슬이 높아 맘이 무겁다

    돌아온 江山(강산)에

    路馬(노마)처럼 草綠(초록)을 울자

    인연이 굴레란 다면 그도 벗고 갈거다.

     

    書藝(서예)

    먹을 가는 것은 자기의 인격을 아름답게 가는 것이요

    글씨를 쓰는 것은 자기의 인생을 정성스럽게 쓰는 것이요

    붓을 씻는 것은 곧 우리의 때묻은 마음을 정결하게 씻는 것이다.

     

    여보게 벗/수안스님

    茶(다)가있네 차 머금으면, 몸과 마음이 맑아지고,

    세상 모든일이 즐겁게만 보인다네.

    몸을 娑婆(사바)에 머물지만 마음이야 俗塵(속진)에

    물들 수 있겠는가, 담담한 멋이 茶(다)의 妙味(묘미)라네

    人生事(인생사) 모두가 다 그렇듯 친한 벗 하나 둘 보이지 않고

    새로운 벗 힘들고 좋은일 의논하면서 山그늘 내리는

    옛동산 그리며 여보게 벗 茶(다)나 머금세

     

    좋은 글

    白玉(백옥)은 진흙 속에 던져지더라도

    그빛을 더럽힐 수 없는 것이요

    君子(군자)는 좋지 못한 곳에 가더라도

    그 마음을 더럽힐 수 없는 것이다.

    그러므로 松柏(송백)은 눈서리를 이겨낼 수 있고

    밝은 지헤는 危難(위난)을 건널 수 있다.

     

    출처 : 효곡 평산방
    글쓴이 : 경촌 원글보기
    메모 :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