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상서 즐기는 일출과 일몰 풍광 일품 - 여귀산(女貴山 457m) |
|
|
| | |
|
|
|
진도의 관문인 진도대교가 걸쳐 있는 명량대첩지를 시발점으로 하는 진도 관광권은 녹진권, 회동권, 사천권, 서망권, 다도해권 등 5개 구역으로 구분된다.
녹진권에는 명량대첩지, 강강술래터, 금골산, 백조도래지, 용장산성, 이충무공 전첩비 등의 대표적 명소가 있으며 회동권은 신비의 바닷길, 가계해수욕장, 금호도와 모도 바다낚시터, 향동굴바위가 명소로 꼽히고 있다. | | |
|
사천권에는 쌍계사, 운림산방, 첨찰산, 왕온의묘, 향교, 무형문화재 전수관, 문화예술관, 향토문화회관 등이 있으며, 서망권에는 남도석성, 홍교, 동석산, 상만비자나무, 상만5층석탑, 오봉산 봉화대 등이 명소이며, 다도해권은 방아섬, 하늘다리, 관매해수욕장, 후박수림, 병풍도, 광대도, 독립문, 주지도, 접도, 구자도 등의 명소가 자리잡고 있다.
여귀산은 계집여(女)와 귀할귀(貴)자를 사용하고 있으니 쉽게 귀한 여자라는 뜻으로 해석된다. 산 이름이 그래서인지 이 산을 남쪽이나 북쪽에서 올려다 볼 때 정상과 작은 여귀산으로 불리우는 뾰족한 봉우리가 마치 여인의 젖무덤처럼 느껴지기도 한다.
 여귀산은 북동쪽에 위치한 첨찰산과 직선 거리로 약 12.5km 거리를 두고 능선이 연결되어 있다. 첨찰산에서 여귀산 방면인 서쪽으로 연결되는 산릉은 첨찰산에서 수리봉(381m)을 지나 왕고개에서 잠시 가라앉았다가 남쪽으로 휘어져 의신면 칠전리와 침계리 경계를 이루며 남진한다.
왕고개에서 남진하는 산릉은 약 5km 거리에서 임회면과 의신면 경계를 이루기 시작하는 221m 봉을 지나 약 3km 더 흘러 내리다가 192m봉에 이르러 남서쪽으로 휘어져 313m봉에서부터 산릉을 들어올리기 시작 작은 여귀산과 여귀산을 빚어 놓고 있다.
여귀산에는 산릉을 남서쪽으로 계속 이어져 상만리를 지나 연대산(149m)에 이른 다음 해안가를 따라 북서쪽으로 방향을 틀어 희여산(270m)~비차산(174m)을 지나 지산면으로 들어가 북으로 치달으며 지력산(325m)과 동석산(240m)을 들어 올리고 그 여맥을 바다속으로 가라앉힌다.
여귀산은 두 얼굴을 가진 산이다. 정상은 제법 오르기가 험난한 바위지대로 이뤄진 반면 정상을 중심으로 좌우로 흘러내린 지능선들은 부드러운 산세를 이루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밖에서 올려다본 여귀산은 어느 방향으로든지 쉽게 오를 수 있을 것으로 보이지만 산으로 들어서면 수림이 워낙 빽빽하게 들어차 있어 기존 등산로를 벗어나서는 육지의 여느산과 달리 수림지대를 뚫고 나아가기가 어렵다.
그러나 일단 주능선이나 정상에 오르면 남서쪽 아래로 시원하게 터지는 다도해해상국립공원을 비롯한 바다풍경이 황홀하게 파노라마를 펼치고 있다. 이 산에서는 바다를 주홍빛으로 물들이는 일출과 낙조가 일품이다. |
| | |
|
 |
코스가이드 |
|
|
| |
여귀산 등산로는 아기자기한 바위들이 연이어 선 주능선을 사이에 두고 탑립마을 버스 승강장에서 정상을 거쳐 탑립관광농원으로 하산하는 길이 대표적이다. 버스 승강장에서 10분쯤 올라가면 낮으막한 암릉을 만나는데 이 코스는 약간의 스릴과 암릉을 타고 넘은 해풍 그리고 눈앞에 펼쳐진 다도해 해상국립공원이 섬 군락이 그지없이 아름답다.
 50여분 올라가면 산죽 군락 사이로 여귀산 정수리가 눈에 들어온다. 이곳에서 약 5~7분 정도 오르면 정상으로 통하는 10m 높이의 줄사다리를 만나게 되는데 낡았으므로 조심해야 한다. 산죽 군락지는 그 옛날 봉화대를 지키던 봉화수들이 기거했던 곳인데 호랑이의 피해를 막기 위해 심었다는 전설이 있다.
정상에 올라서 삼면으로 보이는 다도해의 풍광을 구경한 후 올라 왔던 줄사다리를 지나 작은 여귀산에 이르게 된다.
작은 여귀산을 거쳐 내려오다 보면 ‘바위’라 표시된 지점에 폭 1.5m, 높이10m, 길이 20m의 마주보고 있는 거대한 석관모양의 바위를 만나는데 진도를 지키던 바다신의 석관이 아니었나 싶다. 이곳에서 3~5분 가면 탑립관광농원에 도착하는데 한가롭게 뛰어노는 사슴의 고운 자태가 또다른 감흥을 안겨준다. 이 등산로는 약 2시간 30분 소요되는 코스이며 때때로 도장금골의 빈 농가에서 하씨무덤을 거쳐 정상, 탑립관광농원을 이용하는 이들도 있으며 상만리 구암사에서 산행을 시작하여 388고지, 여귀산 정상, 작은 여귀산(작은봉), 산불감시초소, 죽림제로 하산하는 코스도 있다. |
| |
|
 |
교통, 숙박 |
|
|
| |
 |
교통 |
|
일단 진도읍까지 가서 진도공용터미널(061-544-2141)에서 임회로 운행하는 군내버스 이용, 용호리 입구 광석초등학교가 보이는 임회주요소 앞 삼거리에서 하차한다. 용산 마을까지 도보로 30분 소요, 용산 마을까지 들어가는 버스는 2회 (06:20, 17:20)있다. |
|
|
광주~진도읍간 버스 1일 31회 운행, 2시간 30분 소요.
목포~우수영 경유~진도읍간 버스 20회 운행, 97.4km 1시간 소요. |
|
 |
산꽃 미술원에서 30분 소요. |
|
전화 016-753-0124 |
|
 |
식사는 진도읍내로 이동하여 앞서 소개한 한정식이 인기가 있는 옥천식당(544-5664)과 우리식당(544-5220), 제진관(544-2419)등을 사전예약하여 이용하면된다. 한우갈비는 천하장사(543-7666), 대왕숯불갈비(543-7774), 제주촌갈비(544-4919)등이 유명하다. 횟집은 진도횟집(544-0129), 다도해관광회센타(543-7227), 무등횟집(542-1707), 청해횟집(544-5454) 등을 찾는 이들이 많다. 만수복식당(544-2907)에서 맛볼수 있는 추어탕도 인기가 있다. | |
| | |
| |
|
|